본문 바로가기

companion animal disease

소화 계통 설명과 입안 및 인두와 치아 부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소화계통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소화기 질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화계통의 해부학 구조를 알아두는것이 좋습니다. 동물은 생명을 유지하고 활동하며 성장하고 번식을 계속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영양소의 공급이 필요합니다. 영양소는 사료를 통해 공급될 수 도 있지만 사료의 성분만으로는 고분자 화합물이 많아서 그 형태로서는 영양소로 이용되기 힘듭니다. 소화관내에서는 고분자 화합물보다는 저분자물질로 만들기 위해서 물리적인 방법 혹은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해 소화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탄수화물은 단당류, 지방은 지방산과 글리세롤,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가 되고 소화작용에는 기계적 소화와 화학적 소화로 나뉘게 됩니다. 기계적 소화는 치아와 혀를 사용해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혼합하는 작용으로 식도, 위, 장관의 연동운동이나 분절 운동이 있습니다. 화학적 소화는 침, 위액, 창자액, 이자액에 포함된 각종 효소와 쓸개즙의 작용에 의해서 음식물을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것입니다. 소화는 기계적 소화와 화학적 소화의 공동 작용으로 이루어지며, 위액에는 lactic acid(젖산), pepsin(펩신), rennin(레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화학적 소화작용을 담당합니다. 창자액은 amylase(아밀라아제), trypsin(트립신), lipase(리파아제)입니다. 소화액 중에서 가장 뛰어난 소화효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추가로 중탄산나트륨도 있어서 위액과 같이 산성이 된 내용물을 중화시켜 장에서의 화학적 소화에 도움을 줍니다. 그렇게 소화를 통하여 탄수화물은 포도당 등의 단당류가 되고, 단백질은 각종 아미노산, 지방은 글리세린과 지방산으로 분해가 되어 작은 창자 벽에 있는 융모의 상피세포를 통해 혈액이나 림프액 속으로 흡수가 됩니다. 수분, 비타민, 무기 물류들은 큰창자로 흡수가 되고 소화기 계통은 입안(구강), 인두(pharynx), 식도, 위(stomach), 작은창자(소장, small intestine), 큰창자(대장, large intestine)이며, 부속기관으로는 입술, 혀, 치아, 타액선(침샘, salivary glands), 간(liver), 이자(pancreas)로 구성됩니다.

2. 입안과 인두에 대한 설명입니다.

입안은 입술에서 인두 전까지를 의미합니다. 입안 내로 들어온 음식물은 이로 씹게 되면서 잘게 부수어지고 침(타액)과 혼합되어 기계적 소화와 화학적 소화를 합니다. 소화액인 침은 침샘에서 분비가 되며 귀밑샘(parotid gland, 이하선), 턱 샘(mandibular gland, 악하선), 혀밑샘(sublingual gland, 설하선)의 큰 침샘으로 구성됩니다. 그리고 입술 샘(labial gland, 구순선), 볼 샘(buccal gland, 협선), 입천장 샘(palatine gland, 구개선)등의 작은 침샘도 있습니다. 침샘에는 점액 세포, 장액 세포로 되어있는 점액 샘, 장액 샘과 이들과 혼합해서 구성된 혼합 샘이 존재합니다. 사람과 포유동물의 귀밑샘은 장액 샘이라 합니다. 그리고 소, 돼지, 염소, 사슴 같은 우제류와 개, 고양이, 사람의 턱 샘은 혼합 샘입니다. 혀밑샘도 혼합 샘이기는 하지만 점액성이 높은 경우가 많으며, 인두는 입 인두, 코인두, 후두 인두(laryngopgarynx)로 구분됩니다.

3. 치아 설명입니다.

치아는 위턱과 아래턱의 2개의 치아 활(치아 궁)에 의해 배열이 되며 주로 음식을 씹는 작용을 담당합니다. 특히 아래위턱, 씹 기근(저작근), 입술, 혀 등과 함께 작용하여 음식물이나 사냥 감등을 잡아서 씹는 기능을 합니다. 강아지의 치아는 탈락 치아(젖니, 유치)와 영구치아(간니)로 구분되며, 거의 같은 동물들은 비슷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나 포유동물들은 식성 하고 밀접 관계가 있어서 육식동물 하고 초식동물 하고는 차이가 있습니다. 형태와 기능을 보면 앞니(절치), 송곳니(견치), 작은 어금니, 큰 어금니 등 4가지입니다. 종류와 수를 표현하는 것을 치식이라 합니다. 치식은 종에 따라 결정되어 있고 분류하는데 큰 특징을 나타냅니다.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치식은 정중앙으로부터 한쪽만을 표시한다고 합니다.